본문 바로가기
모든 상식

조선시대 이게 뇌물이었다고요?

by 삼둥이 아빠 2024. 3. 14.
728x90
반응형

각종 나물이나 비빔국수 등에 뿌려 먹으면 음식을 먹는 내내 고소한 향이 입안을 맴돌게 해주는 참깨 좋아하시나요? 참깨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입니다. 최초의 야생 참깨는 생물학적으로 보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자랐다고 하지만 고고학적인 자료로는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앗시리아와 인도에서 참깨를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Pixabay 로부터 입수된 TheUjulala님의 이미지 입니다.

 
이러한 참깨가 동양에 전해진 것은 기원전 1-2세기 무렵입니다. 중국 한무제의 명을 받은 장건이라는 외교관이 서역 그러니까 지금의 중앙아시아에 있는 흉노족 국가를 방문하고 돌아오면서 가져왔다고 한서(漢書) 서역전(西域傳)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아랍의 참깨가 실크로드를 거쳐 동양으로 들어온 것입니다.
 
참깨를 한자로는 지마(芝麻) 또는 호마(胡麻)라고 합니다. 중국에서 오랑캐 호(胡)는 주로 서역인 중앙 아시아에서 전해진 물건이나 음식의 접두어로 쓰입니다. 참고로 우리가 즐겨 먹는 호떡도 중앙아시아에서 먹는 난(Naan)이라는 빵이 뿌리인데 서역에서 전해 온 떡이기 때문에 호떡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깨도 서역에서 전해졌기에 한자로는 호마(胡麻)라고 씁니다.
 

'장건출사서역도', 둔황 막고굴 323굴 북벽. 한(漢) 무제(武帝)의 명에 따라 서역으로 떠나는 장건(張騫) 사절단의 모습 출처 : 미디어피아

 
우리나라에 언제 참깨가 전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송나라 사신인 서긍이 고려를 다녀갔다가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고려에서도 참깨를 재배한다는 기록이 있고 해동역사(海東繹史)에도 고려에는 호마 즉 참깨가 많다고 했습니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 전해졌고 고려 때 참깨를 많이 재배했다고 기록에 나오니 우리나라에도 삼국시대 무렵에 참깨가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참깨가 전해진 역사는 무척 오래됐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불과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참깨는 무척 귀한 식품이었습니다. 참깨 값이 비쌌기 때문에 중국산이 들어오기 전까지 참깨를 짜서 만드는 참기름 어머니가 아껴두고 조금씩 먹었던 기름이었습니다.
 

사진출처:경향신문

 
우리 역사의 기록에도 참깨는 귀중한 작물로 등장합니다. 그 가격이 얼마나 값이 비쌌는지 요즘은 뇌물로 돈을 주지만 조선시대 때는 참깨를 뇌물로 건넸다고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문종 1년 참깨 열 말을 뇌물로 받은 자가 있으니 처벌해야 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성종 때는 임금의 장인인 부원군이 자신의 하인이 참깨 두 섬을 뇌물로 받았다는 고발이 들어왔는데 사실과 다르니 혐의를 벗겨 달라며 상소를 올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중종 때의 세도가였던 김안로는 받은 뇌물의 양에 따라 낯빛이 달라질 정도로 욕심이 많고 처신이 가벼운 인물이었습니다. 얼마나 가벼운 인물이었냐면 김안로는 보신탕을 맛있게 만들었다고 아래 사람에게 벼슬을 줄 정도로 부패한 세도가였습니다. 황침이라는 자가 김안로 덕분에 충청병사가 되자 참깨 20말을 뇌물로 김안로에게 보냈습니다. 같은 시기에 임천손이라는 자도 김안로에게 청탁해 충청수사 자리를 얻게 되자 뇌물을 보냈습니다. 둘이 함께 인사를 갔는데 김안로가 임천손을 반기면서 황침에게는 쌀쌀맞게 대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김안로가 딸을 시집보낼 때 임천손에게 혼숫감을 부탁했더니 아예 배를 건조해서 혼수물품을 바리바리 실어서 올려 보냈다는 것입니다. 이를 알게 된 황침이 "참깨 20말은 바닷물에 던진 조약돌처럼 사소한 것이었구나"라며 한탄하는 대목이 송와잡설(松窩雜說)이라는 문집에 나옵니다.
 

사진출처:경남도민일보

 
사족이지만 우리가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에서 보물이 가득한 동굴의 문을 열기위해 "열려라 참깨(Open Sesame)"라고 외치는 것을 압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참깨일까요? 그런데 이 Sesame의 어원이 되는 중세 아랍어인 Simsim은 참깨라는 뜻 외에 문(Gate)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러니 알리바바와 도적들은 당연히 "Open Sesame"를 외쳤겠지만 이를 번역하면 "열려라 참깨"가 아니라 "열려라 문"이라고 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혹시 필요하신 광고 있으시면 구경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