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날3

설날이 "자중과 근신"을 하는 날이었다고요? 벌써 설 명절이 다가왔습니다. 먼저 이웃님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오늘은 우리가 음력 1월 1일을 “설날”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이름에 대한 '설', '설날'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대체로 네 가지의 설(說)이 있습니다. 1. 새해에 처음 맞는 날이 낯설다는 의미에서 낯설다의 어근인 '설다'에서 온 것으로 보는 가설. 2. '한 해가 새롭게 시작하는 날'이라는 뜻의 '선날'이 '설날'로 바뀌었다고 보는 가설. 3. 한국어 순우리말 가운데 '나이'를 의미하는 의존 명사인 살과 동계어라는 가설. 4, '자중하고 근신한다'는 의미의 옛말인 '섦다'에서 왔다고 보는 가설. 오늘 참고하고자 하는 책은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해방직후인 1946년에 조선이라는 나라를 알리기 위해 저술한 .. 2024. 2. 9.
설날을 왜 구박 했을까요? 제가 중학생일 때까지만 해도 설날은 휴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설날에는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새벽같이 일어나 차례상을 차리느라 식구들이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아이들은 어서 일어나라며 방을 치우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손에 떠밀려 졸린 눈을 비비며 이리저리 옮겨 다니고, 어른들도 힘든 얼굴로 차례음식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아침 6시 즈음, 향이 피어오르고 차례가 시작되었습니다. 밖은 겨울인 탓에 아직 캄캄한 어둠이었고, 겨울방학 중인 아이들은 늦잠을 자던 버릇 탓에 절을 하면서도 깜빡 졸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어수선한 가운데 차례가 마무리면 아버지는 급히 떡국을 드시고는 바로 가방을 챙겨 출근길에 나섰고, 아이들은 떡국이고 뭐고 다시 이불을 펴고 잠을 자기 바빴습니다. 그러면 할머니와 어머니는 텅 .. 2024. 1. 1.
새해 첫날에는 왜 떡국을 먹을까? 2017년 황동혁 감독이 소설가 김훈 씨의 소설 “남한산성”을 각색해서 이병헌, 김윤석, 박해일, 박희순, 고수 등 호화 배우들을 모아 제작한 영화 “남한산성”을 보셨나요? 내용은 잘 아시다시피 병자호란을 겪는 도중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오고 임금이 있는 남한산성을 얼마 되지 않는 군사로 지키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그러면서 청과 화친을 하자는 측과 오랑캐에게 굴복할 수 없으니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측으로 나뉘어 정치적인 싸움을 합니다. 영화의 장면 중 설날로 추정되는 어느 날 아침 어린 소녀가 김윤석이 분한 김상현 대감에게 식사로 떡국 한 그릇과 간장 한 종지가 담긴 조그마한 밥상을 가져다줍니다. 김상현은 소녀에게 아침을 먹었느냐고 물어보고 소녀는 먹었다고 했지만 바로 꼬르륵거리는 소리를 내게 .. 2023.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