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3

조선시대 이게 뇌물이었다고요? 각종 나물이나 비빔국수 등에 뿌려 먹으면 음식을 먹는 내내 고소한 향이 입안을 맴돌게 해주는 참깨 좋아하시나요? 참깨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입니다. 최초의 야생 참깨는 생물학적으로 보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자랐다고 하지만 고고학적인 자료로는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앗시리아와 인도에서 참깨를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참깨가 동양에 전해진 것은 기원전 1-2세기 무렵입니다. 중국 한무제의 명을 받은 장건이라는 외교관이 서역 그러니까 지금의 중앙아시아에 있는 흉노족 국가를 방문하고 돌아오면서 가져왔다고 한서(漢書) 서역전(西域傳)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아랍의 참깨가 실크로드를 거쳐 동양으로 들어온 것입니다. 참깨를 한자로는 지마(芝麻) 또는 호마(胡麻)라고 합니다. 중국에.. 2024. 3. 14.
무능력의 상징 무타구치 렌야를 아시나요? 알렉산더, 카이사르와 함께 서양의 3대 정복자로 알려져 있는 나폴레옹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군대는 위(胃)를 가지고 싸운다." 그만큼 군대에 있어서 군수품 특히 식량은 굉장히 중요한 존재입니다. 그런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장군 중에 이를 무시했던 한 사람에 의해 일본의 패전이 앞당겨진 사실을 아시나요? 1944년 3월 8일에서 7월 3일 이 시기에 일본은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를 차지하기 위해 인도의 마니푸르와 나갈랜드에서 전투를 벌입니다. 이 작전의 목적은 인도의 임팔이라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임팔전투“ 혹은 ”임팔작전“이라고 불리우는 전투였습니다. 당시 일본에서는 이 작전의 준비기간이 긴 편이어서 전술적인 준비와 무기를 잘 준비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영국군의 행군방향과 .. 2024. 1. 18.
간디는 과연 성자(聖子)였을까요?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는 1869년도에 출생해 1948년에 암살로 사망한 인도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유명합니다. 우리는 흔히 “마하트마 간디”로 많이 알고 있는데 마하트마는 산스크리트어로 “위대한 영혼”이라는 뜻으로 우리에게도 유명한 인도의 시인인 타고르가 지어준 일종의 별명 혹은 호입니다. 20세기의 성자(聖子)로 불리우는 간디는 카스트 제도에서 평민인 바이샤 출신으로 인도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영국으로 유학을 가 법학을 전공 변호사 자격증까지 따는 영민한 머리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인도의 독립을 위해 투쟁을 했는데 비폭력주의를 앞세워 저항은 하되 폭력은 쓰지 않는 독특한 방법으로 저항을 해서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습니다. 그의 어록을 보면 "폭력으로 얻은 승리는 패배한 것과 같다. 왜.. 2024.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