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은 가로세로 19줄로 이루어져 총 361개 교차점에 돌로 에워싼 “집”이 라고 부르는 빈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보드게임입니다. 바둑의 기원으로는 2가지 설이 있는데 첫 번째로는 요순 창시설로 고대 중국의 요(堯)·순(舜) 임금이 어리석은 아들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을 깨우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중국의 고전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박물지(博物誌)”에 실린 '요조위기 단주선지(堯造圍棋 丹朱善之)'라는 문구로 이에 따르면 기원전 2300년 전 요 왕이 아들을 위해 바둑을 발명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또 하나는 천체관측설로 농경(農耕)사회였던 고대에는 별들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우주와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연구하는 도구로서 바둑이 발명되었다는 설이 요즘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대문명의 발상지이기도 한 황하유역에는 해마다 홍수가 범람하여 선사시대 때부터 자연스럽게 천문학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하늘의 별자리를 표시하던 도구가 발전되어 오늘날의 바둑이 되었다는 설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어쨌든 바둑은 매우 정적인 활동에 속합니다. 그런데 의외로 용맹스럽고 싸움을 좋아하는 동적인 고구려인들이 이 정적인 바둑을 즐겼다고 합니다. 중국의 역사서인 “구당서”에 "고구려인은 바둑과 투호놀이를 좋아한다."고 했고, "삼국사기"에는 바둑을 즐긴 백제의 개로왕이 고구려의 첩자 도림에게 살해당했다는 내용이 기록이 있습니다.
바둑이 우리나라에 전해진 시기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요순시대에 바둑이 만들어졌다면 단군과 요순은 그 연대가 비슷하므로 이때에 우리나라에 전해졌으리라 추측합니다. 우리나라에 전래된 바둑은 고구려인들만 좋아하는게 아니라, 백제인도 즐겼습니다. 통일신라에서는 당나라와 바둑으로 교류할 정도로 매우 성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놀기 좋아하는 왕자들이 바둑을 즐겼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세종의 셋째아들인 안평대군의 바둑 실력이 뛰어났습니다. 그는 서울 성북동 별장에서 옥 바둑판에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바둑돌로 바둑을 두면서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에 세종은 바둑이 학문을 게을리하게 만든다 하여 금령을 내리고 바둑 두는 사람을 잡아가두게 했습니다, 이 일로 인하여 그 뒤로 바둑은 은거하는 도인이나 낙향한 선비에 의해 명맥을 유지하면서 소일거리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바둑과 더불어 널리 즐기는 놀이 중에 장기가 있습니다. 옛 문헌을 보면 장기를 “상희”라고 일컬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의 문헌에는 '장기'라는 명칭이 보입니다. 나무토막에 글씨를 쓰고 그것을 조각한 알로 적의 장을 꼼짝 못 하게 포위하여 승패를 겨루는 까닭에 장기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장기는 본디 인도의 승려들이 오랜 수도 생활 중에 잠깐 쉬는 틈을 타서 행하던 놀이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졌다고 합니다. 장기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어진 시기는 신라 말기에서 고려로 추측됩니다. 장기는 인도 장기. 중국 장기. 일본 장기 등 각 나라마다 약간씩 다르게 발전했고, 이 장기가 서양으로 전해져 발전한 것이 체스입니다.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모든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벌의 어원이 이거라고요? (162) | 2024.03.30 |
---|---|
일제에 저항운동을 한 도축업자들이 있었다고요? (291) | 2024.03.28 |
대학의 뿌리가 이거였다고요? (148) | 2024.03.26 |
숟가락은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요? (176) | 2024.03.25 |
대한제국에 인터넷을 대신한 단체가 있었다고요? (164) | 2024.03.21 |